티스토리 뷰



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 기간이 연장되었다는데 알고 계셨나요? 피곤한 몸으로 집안일도 많은데  가사부담을 덜 수 있는 기회네요. 예산이 정해져 있어 선착순이니 서둘러주시고 가사서비스 신청방법과 자격조건 필요서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서울형 가사 서비스
서울형 가사 서비스

 

 

 

📌 서울형 가사서비스란?
서울시에서 맞벌이, 임산부, 다자녀 가구를 대상으로 가사노동 부담을 덜어드리고자 워라밸을 맞춰주기 위해 "서울형 가사서비스"를 지원하는 복지 서비스입니다. 신청일부터 선정발표까지 3주 소요된다고 하니 서둘러주세요.
신청기간: '23. 6. 27.(화) ~ '23. 11. 10.(금)

👉 중위소득 150% 궁금하다면?

 

목차

더보기

지원내용

지원횟수 이용요금

자격조건

중위소득

진행절차

대상별 신청서류와 발급처

권역별 가사업체 문의처 

1. 지원내용

 

가정방문 통한 거주하는 장소(, 거실) 및 주방, 화장실 청소, 설거지, 쓰레기 배출, 세탁 등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.

제외 : 정리정돈, 취사, 아이돌봄, 반려동물 관련, 입주청소, 전문자격 요하는 서비스는 제외됩니다.

 

📌 우선지원 : 가족 돌봄 공백 발생 가구 우선으로  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됩니다.
📌 본인 또는 가족의 장애 질병 등의 사유로 가족 돌봄 공백 발생한 경우 우선입니다.

 

2. 지원횟수와 이용요금

 

1가구당 총 6(1회당 4시간, 30분 휴게시간 포함)

이용요금 : 무료 (본인부담금 없음)

📌 서비스 시간 : 평일(09:00 ~ 13:00/14:00~18:00), 토요일 오전(09:00~13:00)

 

3. 자격조건

 

서울 거주자 중 중위소득 150% 이하인 맞벌이이거나 임산부 또는 다자녀 가정은 서울형 가사 서비스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임산부 가구 : 임신부터 출산 이후 1년 이내인 가구
맞벌이 가구 : 부부 모두 주 20시간 이상 근로하는 가구
다자녀 가구 : 공고일 기준 만 18세 이하 미성년 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

서울형 가사 서비스서울형 가사 서비스
서울형 가사 서비스

4. 중위소득 150% 얼마지?

 

소득 수준이 지원조건에 있는데요. 바로 중위소득 150% 이하입니다. 저도 이번에 알아보면서 이게 소득기준으로 세금 전으로 봐야 되나 고민했는데 23년 기준 건강보험료 본인부담 부과액 기준이었어요. 아래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.

서울형 가사 서비스
서울형 가사 서비스

 

이게 금액으로 봐도 헷갈리죠? 아래 서울형 가사서비스 공고문에서 정확한 금액과 보험료를 확인해 보세요. 

그리고 많이 하는 질문과 자세한 자격조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▼ 서울형 가사서비스 공고문 다운로드 ▼ 

서울형가사서비스공고문_수정_.hwp
0.09MB

 

 

 

 

서울형 가사 서비스서울형 가사 서비스
서울형 가사 서비스

 

5. 진행과정

 

신청 >> 자격확인 >> 선정 >> 가사관리사 매칭 >> 바우처 사용 >> 서비스 종료

 

서울형 가사 서비스
서울형 가사 서비스

 

6. 대상별 신청서류와 발급처 

 

 

 

 

 

구분 구비서류 발급처
공통사항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(필수)
- 필요시 자격득실확인서 제출
* 의료급여증명서, 기초생활수급자증명서 대체 가능
국민건강보험공단
홈페이지
(해당시) 가족돌봄공백 발생 구비서류
- 질병 진단서, 장애진단서, 장애인등록증 사본
의료기관 등
(해당시) , 모 세대 분리된 경우
- 가족관계증명서
전자가족관계
등록시스템
임산부 임신중 임신사실 확인서 (3개월 발급 예외)
* 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급신청서 대체 가능
의료기관
출산 후 1년이내 * 추가 증빙서류 제출 없음 -
다자녀
(2자녀 이상)
* 추가 증빙서류 제출 없음 -
맞벌이
(부부 모두 직장가입자)
* 추가 증빙서류 제출 없음 -
맞벌이
(모두 직장가입자 아닌 경우 또는 혼합)


*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아닌 경우만 제출
상시
근로자
근로활동 및 소득신고서(서식1 참조)
아래 서류 중 1종 제출
-
1) 국민연금가입자 가입증명서 국민연금공단 지사 또는 홈페이지
2) 재직증명서, 근로계약서, 위촉탁
계약서, 급여명세서, 고용임금확인서
해당 재직기관
자영
업자
근로활동 및 소득신고서(서식1 참조)
사업자등록증명원 (세무서, 홈택스)
아래 서류 중 1종 제출
-
1) 소득금액증명원 또는 부가가치세과세
표준증명원
세무서, 홈택스, 정부24
2) 부가가치세신고서 세무서, 홈택스
기타 근로활동 및 소득신고서(서식1 참조)
소득 증빙자료
- 고용임금확인서, 통장사본(3개월분)
재직기관(고용임금확인서)

서울형 가사 서비스
서울형 가사 서비스

7. 권역별 가사업체 문의처

 

1. 도심권(한국가사노동자협회)

👉한국가사노동자협회 카카오톡바로가기

 

종로구, 중구, 광진구 : 1566-7390
성동구 : 02-463-0029
서대문구 : 02-785-3238, 02-6348-0851
동대문구 : 070-4420-9777
용산구 : 02-797-5858

 

2. 서북권(참사랑어머니회)

 

👉참사랑어머니회 카카오톡바로가기

마포구, 은평구, 양천구, 강서구 : 02-3473-0508

 

3. 동북권(강북나눔돌봄센터)

 

👉강북 나눔 돌봄 센터 카카오톡바로가기

강북구, 성북구, 도봉구, 노원구, 중랑구 : 1660-4766

 

4. 서남권(든든한파출부서남권(든든한 파출부)

 

👉든든한 파출부 카카오톡바로가기

구로구, 금천구, 영등포구, 동작구, 관악구 : 02-845-8797

 

5. 동남권(대리주부)

 

👉대리주부 카카오톡바로가기

서초구, 강남구, 송파구, 강동구: 02-6204-4811

 

시스템 문의(본인인증 불가, 첨부파일 미업로드 등) : 서울시가족센터 02-318-0227

 

서울형 가사 서비스
서울형 가사 서비스

 

반응형